category개발노트A11Y

  1. 단일 문자 단축키 (Character Key Shortcuts)KWCAG 2.2 변경 사항 톺아보기 - Ⅳ
    📆📂개발노트A11Y

    문자 단축키 검사 항목은 운용의 용이성 원칙의 입력장치 접근성 지침에 속해있으며 WCAG 2.1의 Character Key Shortcuts 성공 기준에서 도입되었다. 의도 이 검사 항목의 목적은 단일 문자 단축키를 제공했을 때 사용자가 의도치 않게 문자 단축키가 작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. '의도치 않게 작동되는 것을 방지한다는 것'은 의도하지 않게 작동되는 경우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. 그러니까 이 지침을 이해하려면 '의도하지 않게 작동되는 경우'가 누구에게 발생하는지 알아야 하고, 단일 문자 단축키가 정확히

  2. 입력 방식(Input Modalities)KWCAG 2.2 변경 사항 톺아보기 - Ⅲ
    📆📂개발노트A11Y

    입력 방식 지침은 P.O.U.R 원칙 중 조작 가능(Operable) 원칙의 하위 지침이다. WCAG에서는 이 지침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. Make it easier for users to operate functionality through various inputs beyond keyboard. 의도 이 지침의 목적은 사용자가 상황에 따라 언제든지 선호하는 입력 방식을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되게 하는데 있다. WCAG 기준으로는 키보드 이외에 다양한 입력 방식을 이야기하지만, 한국에서는 마우스 이외에

  3. 적응성(Adaptable)KWCAG 2.2 변경 사항 톺아보기 - Ⅱ
    📆📂개발노트A11Y

    적응성 지침은 P.O.U.R 원칙 중 인식 가능(Perceivable) 원칙의 하위 지침이다. WCAG에서는 이 지침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. Create content that can be presented in different ways (for example simpler layout) without losing information or structure. (설마 이걸 해석 못하는 사람은 없겠지…? @.@) 의도 이 지침의 목적은 모든 정보를 모든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(perceivable) 방식으로

  4. KWCAG 2.2 변경 사항 개요KWCAG 2.2 변경 사항 톺아보기 - Ⅰ
    📆📂개발노트A11Y

    지난 접근성 오픈 아카데미 라이브 방송에서 내뱉은 말을 지키기 위해(?)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(KWCAG, Korean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) 2.2의 변경 사항에 대한 자세한 포스팅을 시작해 본다. 사실 포스팅 주제를 만들기 위한 밑밥이었… 한 번에 모든 내용을 다루려면 매우 많은 지면을 사용해야 하므로 몇 번에 걸쳐 시리즈로 포스팅할 예정이다. 일단 오늘은 가볍게 훑어보는 정도만. KWCAG 개정 연혁 2005년 1.0 제정 2010년 2.0 개정 2015년 2.1

  5. 접근성 향상을 위한 이름 짓기
    📆📂개발노트A11Y

    ※ 이 글은 Hidde de Vries가 작성한 Naming things to improve accessibility를 를 원작자의 허가를 받고 번역한 글입니다. 일부 오역이 있을 수 있습니다.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할 수 있는 한 가지는 항상 개체들에 접근 가능한 이름을 지정하는 것입니다. 고유하고 유용한 이름은 이상적으로 탐색에 유용할 수 있습니다. 이 게시글에서는 브라우저가 링크, 양식 필드, 테이블, 양식 그룹들의 이름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. 이 게시글은 지난 로테르담에서의 WordCamp에서 발표한 당신의

  6. 접근성 교육에서 자주 나오는 상위 5가지 질문
    📆📂개발노트A11Y

    ※ 이 글은 Carie Fisher가 Deque Blog에 작성한 Top 5 Questions Asked in Accessibility Trainings를 원작자의 허가를 받고 번역한 글입니다. 일부 오역이 있을 수 있습니다. 디지털 접근성 세계에서 일하기 딱 좋은 시기입니다! 불과 몇 년전만 해도 접근성 스페셜리스트로서의 업무를 찾는 것 — 특히 민간 기업에서 찾는 경우에는 더욱더 어려울 수 있었습니다. 일부 채용이 열리기도 했지만, "정규"직에 덧붙인 파트타임으로 담당하거나 UX 부서의 일부로 있을

  7. 접근 가능한 숨김 텍스트
    📆📂개발노트A11Y

    숨김 텍스트 오래동안 묵어있던 글감을 다시 꺼냈다. 다양한(?) 짓거리를 포스팅하려고 하다 결국은 포기하고 단순하게 포스팅 하기로… = _=a 퍼블리싱 작업을 진행하다보면 종종 숨김 텍스트를 사용해야 하는 상황에 맞닥뜨릴 때가 많다. IR(Image Replace) 기법을 사용해야 할 때가 그 중 대표적인 한 가지이고, 기획 문서나 디자인 시안에는 존재하지 않지만 문맥 상 혹은 문서 구조 상 숨겨져 있는 제목을 넣어주어야 할 경우라던가, 혹은 바로 위에 보이는 것 처럼 이모티콘(?)을 사용하면서 이 이모티콘에 대한 적절한 대체

  8. 접근 가능한 탭 UI 만들기
    📆📂개발노트A11Y

    기존 방식의 문제점 과거, WAI-ARIA가 본격적으로 도입되기 이전에는 탭 콘텐츠에 대한 접근성을 제공할 방법 자체가 제한이 많았기 때문에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(이하 KWCAG)의 기준을 최대한 벗어나지 않는 대체 방안들로 제공이 되었다. 그 중 대표적인 것이, <div> <ul> <li><a href="#tab1">tab 1</a></li> <li><a href="#tab2">tab 2</a></li> <li><a